커피와 차에 함유된 카페인이 비만과 당뇨병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커피, 녹차, 에너지 음료 등에 함유된 카페인은 중추신경계를 흥분시켜 각성 효과가 있어 섭취 시 졸음과 피로를 줄여주지만, 과다 섭취 시 설사나 메스꺼움을 유발할 수 있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연구팀은 혈중 카페인 농도가 높으면 체지방률이 낮아져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이 감소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연구 결과(논문명: Appraisal of the causal effect of plasma caffeine on adiposity,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two sample mendelian randomisation study)는 최고권위 영국의학저널 (The BMJ)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기존 연구를 통해 평균 70~150mg의 카페인을 함유한 커피를 매일 3~5잔 마시는 것이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의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하지만 참고한 논문은 관찰 연구였기 때문에 제2형 당뇨병과 비만으로 인한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가 카페인에 의한 것인지 다른 화합물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유전적 증거를 통해 인과관계를 밝히는 멘델리안 랜덤화(MR) 기법을 통해 카페인 대사 속도와 관련된 두 가지 공통 유전자 변이체를 발견하고, 유전적으로 예측되는 혈중 카페인 농도와 BMI 및 체지방 감소가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했다.
유전적으로 카페인 대사가 느린 사람은 평균적으로 커피를 적게 마셔도 혈중 카페인 농도가 카페인 대사가 빠른 사람보다 높다. 카페인은 신진대사를 높이고 지방 연소를 촉진하며 식욕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루 100mg을 섭취하면 하루 에너지 소비량이 약 100kcal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혈중 카페인 농도가 높으면 에너지 소비가 증가해 체중 감소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혈중 카페인 농도와 제2형 당뇨병 위험의 관계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비만과 제2형 당뇨병을 줄이기 위해 칼로리가 낮은 카페인 음료를 마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워릭대학(University of Warwick) 의과대학 스티븐 로렌스(Stephen Lawrence) 부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가 향후 유망한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 이어질 수 있지만, 멘델리안 랜덤화(MR)를 통한 평가는 비교적 새로운 방법이기 때문에 유용하지만 편견에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혈중 카페인 농도를 높이는 것은 칼로리 섭취를 줄이고 신체 활동을 늘리는 것보다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작다”며, “또한 카페인 섭취로 인해 두근거림(심계항진)이나 심박수 이상을 유발하는 사람들도 있기 때문에 모든 사람에게 적합한 방법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비만과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사람들은 커피를 더 많이 마셔야 하는가? 과학적으로 카페인을 섭취하면 휴식 중에도 지방 연소가 촉진된다는 비교적 신뢰할 수 있는 증거가 있다. 그러나 카페인 섭취가 반드시 비만을 치료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잘못 사용하면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다.
'IT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합성 가능한 '인공 잎' 개발 (0) | 2023.05.31 |
---|---|
미니로봇을 혈관에 넣어 수술 성공 (0) | 2023.03.26 |
네트워크로 두뇌제어 가능성 발견 (0) | 2023.03.24 |
플라스틱보다 가볍고 강철보다 강한 신소재 개발 (0) | 2023.03.23 |
전기자동차도 고속충전 가능하다.. 6분만에 90% 충전 (0)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