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보드 축에 관련해 깔끔하고 간단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기계식 키보드에도 종류가 있습니다. 축별로 색이 다르고 색에 따라 작동 방식과 키압 등이 다릅니다. 한마디로 색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선호하시는 축색상에 따라 키보드를 구입하시면 됩니다 클릭 : 눌렀을 때 찰칵거리는 소리가 나고 소리에 따라 스위치가 눌러졌음을 확인할 수 있는 스위치입니다. 넌 클릭 : 눌렀을 때 소리가 적고, 클릭에 비해 걸렸다는 느낌이 드는 스위치입니다. 리니어 : 눌렀을 때 걸리는 느낌이 없습니다 클릭 방식의 축부터 살펴볼게요. 클릭 방식의 대표적인 축은 청축입니다. 찰칵거리는 시원한 소리를 내고 키압은 50g 정도로 높은 편입니다. 시원한 소리 때문인지 피시방이나 게임하는 유저들이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키보드이기도 합니다. 하지..
헤드셋에 관련해서 우선 알고 계셔야 할 점은 채널 수입니다. 다채로운 채널일수록 공간감 있는 소리를 구별할 수 있기 때문에 7.1채널 > 5.1 채널 > 스테레오 순로 성능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림으로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5.1 채널 스피커 7.1 채널 스피커 다음으로 알고 계셔야 할 점은 가상 / 리얼 사운드입니다. 가상과 리얼의 차이점은 헤드셋 안에 들어있는 스피커의 개수로 나뉩니다. 리얼 헤드셋 제품은 스피커가 3~4개가 들어가고 가상 헤드셋일 경우 스피커가 1개씩이라고 간단하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신 요즘엔 기술력이 좋아져서 가상 채널의 경우에도 리얼의 버금가는 수준의 사운드를 보여주는 제품도 있습니다. 게이밍 헤드셋이다 보니 사운드도 중요하지만 요즘엔 디스코드나 인 게임 보이스를 통..
애플이 오픈AI의 인공지능(AI) 챗봇 ‘챗GPT’로 구동되는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앱)의 업데이트 승인을 거부했다고 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메일 앱 ‘블루메일’의 개발사 ‘블릭스’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주 챗GPT를 적용한 새로운 기능이 사용자에게 부적절한 콘텐츠를 보여줄 수 있다며 앱의 업데이트를 차단했다. 블루메일은 챗GPT를 적용해 과거 이메일과 캘린더에 입력된 이벤트를 바탕으로 이메일을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했다. 그러나 애플 앱 리뷰 팀은 블릭스 측에 “해당 앱은 AI 생성 콘텐츠를 포함하지만 현재 콘텐츠 필터링 기능을 갖추지 않았다”며 업데이트 차단 조치를 내렸다. 애플은 앱의 사용자 연령 제한을 17세 이상으로 높이거나 앱에 콘텐츠 필터링 기능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의 오리지널 콘텐츠가 신규 가입자와 활성화 이용자수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가 자사 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를 통해 집계한 데이터에 따르면 1월 기준 넷플릭스(1257만6954명)는 주요 OTT 앱 중에서 사용자 수가 가장 많았으며 티빙(515만563명)·쿠팡플레이(439만1879명)·웨이브(401만1024명)가 뒤를 이었다. 넷플릭스가 주요 OTT 애플리케이션(앱) 중 가장 많은 월간 활성화 이용자수(MAU)를 유지하고 있다. 2위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국내 주요 OTT 플랫폼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양상이다. 이에 따라 이용자 수 순위가 최근 큰 변화를 나타냈다. 1년 새 웨이브는 선두 자리에서 내려가 ..
전세계적으로 대화형 인공지능(AI) '챗GPT'가 인기를 끌면서 국내 신생기업(스타트업)들도 앞다퉈 챗GPT 기능을 도입하고 있다. 챗GPT는 미국 오픈AI가 지난해 12월 공개한 AI다. 마치 사람처럼 대화하듯 말을 주고 받는 챗GPT는 1,750억 개의 매개변수(파라미터)를 조합해 다양한 대답을 만들어 내면서 출시 두 달 만에 가입자가 1억 명을 넘어섰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스타트업들도 챗GPT 기능을 이용하거나 유사한 AI를 적용한 각종 서비스를 속속 선보이고 있다. 챗GPT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분야는 대화형 AI로봇, 즉 챗봇이다. 자연어 검색을 전문으로 하는 올거나이즈코리아는 챗GPT처럼 대화가 가능한 기업용 AI '알리GPT'를 최근 출시했다. 알리GPT는 챗GPT에 적용된 GPT..